Crealit SonicPad 고속출력
해결방안 Overhang: 30~50 또는 서포트 지지대 설치하기
출력시 반드시 Zbrush 리메쉬로 정리할것 or 3Dmax STL Check 에러 체크하여 보정 후 출력

 

왼쪽: 오버행 각도 오른쪽: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는 필라멘트

오버행 각도가 크면 서포트 없이 출력물이 잘 나올 수 있지만, 역행 피라미드 형태처럼 오버행 각도가 작다면
서포트는 필수 입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떠있는
오버행(Overhang)부분을 지지해줄 수 없기 때문에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필라멘트가 내려앉게 됩니다.

왼쪽: 서포트 없이 출력한 출력물 오른쪽: 서포트를 세운 출력물
왼쪽: 서포트 없이 출력한 출력물(출력실패) 오른쪽: 서포트 세운 출력물


출처: 레드 솔루션

blog.naver.com/dokkosam/220582309660 원본 펌

netfabb basic 실행 창입니다.

저는 이 프로그램을 크게 3가지 용도로 사용합니다.

1)출력 오류 확인 및 수정
2)STL 파일 OBJ로 변환
3)분할 출력을 위한 파트 나누기

먼저 파일을 불러오기 위해 상단에 파일 열기를 클릭해주세요.

원하시는 파일을 선택해 주시고 열어 주시면 됩니다.

저는 오늘 Thingiverse라는 디자인 공유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스폰지밥을 열어 봤습니다. 

파일을 열었더니 우측 하단에 느낌표가 있는 위험해 보이는 표시가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표시는 해당 파일이 3D프린팅을 하기 적합하기 않다는 뜻입니다.

바로 오류가 있다는 표시죠.

 이런 표시가 없다면 바로 출력을 진행해도 되는 파일이고 만약 오류가 있다는 표시가 뜬다면

수술(?)을 해야 합니다. 위에 병원 표시로 된 버튼을 눌러주세요.

파일을 열었더니 주황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나타납니다.

이 부분들이 문제가 있다는 표시입니다.

 

3D프린터로 출력을 하기 위한 첫 번째 조건!

 

막힌 하나의 솔리드가 돼야 한다.

 

출력을 진행하기 위해선 뚫려있는 부분이 없는 단일 객체여야 합니다.

스폰지밥은 다 막혀있는 솔리드(덩어리)가 아닌 어느 곳이 뚫려있는 서피스(면)입니다.

위 사진에서 Update버튼을 눌러 먼저 오류를 체크합니다.

그다음 밑에 Repair버튼을 누르고 Execute버튼을 눌러주세요

마지막으로 Apply repair를 누르고 Remove old part를 눌러주세요.

그럼 파일 오류 잡기 끝!!!
아까 위험표시가 있던 표시가 사라진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위 사진과 같이 STL로 다시 저장해주시면 출력 준비 완료입니다!!

 

3D프린터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 중에는 3D로 모델을 구현하기 어려워 

디자인 공유 사이트를 활용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디자인 공유 사이트에 완벽한 파일만 존재하지는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조금 복잡한 형상을 가진 파일은 netfabb을 이용하여 출력 성공율을 올리시길 추천합니다.

+ Recent posts